Computer Science/OS(3)
-
3. OS의 구조
OS의 주요 역할과 무엇을 다루는지 살펴 보았다면 이제는OS자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가 살펴보자. 운영체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하고 직접 다루기 어려운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사용과 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운영체제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 간략하게 보면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2. 프로그램 실행3. 입출력 작업4. 파일 시스템 연산(관리)5. 통신6. 오류 탐지7. 자원 할당8. 회계9. 보호이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하나하나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어떻게 제공하고, 시스템 내부에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라 함은, 표면이라는 의미와 걸맞게 가장 외부와 맞닿아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닿기도 하..
2025.04.13 -
2. Storage 구조와 I/O구조
1. Storage 구조 CPU는 연산하는 장치이다. CPU에도 기억장치가 존재하지만 이는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들이고 필요가 없어지면 즉시 빼버린다. 또한 용량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해 두지 못한다.그래서 CPU외부의 저장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들을 가져온다. 컴퓨터를 이루는 저장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자 주기억장치(Main Memory)보조 저장장치(Secondary storage)주기억장치는 우리가 RAM이라고 부르는 녀석이다. CPU는 주기억장치만 memory address를 사용하여 직접 접근한다.엄밀히 말하면 '리얼 직접'은 아니지만 CPU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적재하고 CPU는 다른 하부 저장장치가 아닌 RAM에서만 가져온다는 의미에서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맞는 것 ..
2025.03.12 -
1. OS가 뭔데
운영체제는 중재자다컴퓨터는 결국 물리적 전자들의 흐름으로 동작한다. 우리는 그걸 맘대로 조종했으면 좋겠다.그렇게 사용자/응용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의 교량 역할이 필요하다.우리는 기계어를 이해할 수 없다. 그래서 자연어와 같은 형태의 명령을 원한다.하지만 컴퓨터는 기계어 밖에 이해하지 못한다.운영체제는 이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 존재한다.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일사용자 관점은 역시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얼마나 사용하기 편하게 디자인 되어있고, 많은 기능들을 제공하며그런 것들이다. 그 뒤에서 일어나는 일이야 원리를 몰라도 알아서 잘 동작한다. 시스템적 관점은 우리가 모르게 일어나고 있는 하드웨어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에 대한 이야기다.자원을 할당하고 이를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운영해야 한다.자원..
2025.03.10